오늘 소개드릴 보석은 12월 15일에 태어나신 분들의 탄생석인 트라피체 루비입니다.
변신 또는 도전이란 뜻을 품고 있으며, 지난 시간에 소개드린 캑터스 아메시스트 보석처럼 특이한 형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름 앞에 트라피체란 단어가 붙게 되었습니다.
트라피체는 어떤 광물의 중심에서부터 방사형으로 여러 갈래 뻗어져 나가는 무늬를 가리킵니다.
이 모습이 바퀴의 휠과 비슷하다 해서 스페인어로 휠을 뜻하는 단어인 trapiche(트라피체)라고 부른 것에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트라피체가 생기는 보석은 오직 에메랄드와 사파이어, 루비, 전기석, 석영, 치아스톨라이트로 오늘은 그중에서도 트라피체 루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 보석 이름 및 기본 정보
- 이름: 트라피체 루비 (Trapiche Ruby)
- 광물학적 분류: 커런덤(Corundum, 산화알루미늄, 화학식 Al₂O₃)의 희귀 변종
- 경도: 9 (이는 루비 본연의 높은 내구성 유지를 의미)
- 주요 산지: 미얀마(특히 Mong Hsu 지역)와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카르나다카(Andhra Pradesh, Karnataka 지역)와 그 외에는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네팔, 베트남 등에서 보고
2. 색상과 패턴 특징
- 색상: 중심부는 빨강, 노랑, 검정 등 다양하며, 주변 루비 영역은 투명 또는 반투명 홍색을 띔
- 패턴: 육각형 핵 중심에서 여섯 갈래의 “스포크(spokes)” 형태의 성장 영역이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이는 실제 기계식 트라피체 밀(trapiche mill)의 원반 구조를 연상
- 광학 특성: 분광학적 밴드와 선명한 적색 형광 존재 가능
- 특징: 여섯 갈래 패턴의 트라피체 구조는 일명, 자연의 예술이라 불리며 그 고유한 패턴으로 희소성이 올라감
3. 내포물(Inclusions)
트라피체 루비는 중심부 결정이 먼저 형성된 뒤, 빠른 성장 속도 변화와 함께 생긴 6개의 성장 경계(sector boundaries)로 패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집니다. 그리고 이 영역 사이에는 다양한 내포물(감마이트, 장석류, 루틸 등)이나 튜브형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육각형의 핵을 중심으로 스포크 영역에는 튜브 형태의 포함물(탄산염, 액체·기체 복합, 고체 등)이 존재하며, 성장을 방해한 다공성 경계선을 나타냅니다.
또한, 트라피체 루비는 주로 발견되는 산지의 지질환경에도 영향을 받았으며, CO₂ 및 황화합물 기반 유입체 포함되어 있고, 형성 당시의 지질·유체 환경을 반영하였다고 합니다.
4. 문화적 의미 및 현대적 활용
- 이름의 유래: 트라피체(trapiche)는 스페인어로 설탕이나 과일을 압착하는 공정 때 사용되는 원반형의 휠인 “밀링 휠”을 의미합니다. 내부가 여섯 갈래로 나뉘는 구조가 마치 이 밀의 바퀴와 닮아 이름 붙게 된 것입니다.
- 희소성: 매우 희귀하며 장식보다는 컬렉션 가치가 높음. 예컨대 1캐럿 이하의 조그마한 슬라이스 상태의 미얀마산이 많고, 인도산보다 크기가 작습니다.
5. 신화와 전설
트라피체 루비에 대한 고대 신화나 전설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그 희소성과 독특한 구조가 상징성을 부여하기도 하는데요.
대체적으로는 ‘공명’, ‘내적 중심’, ‘균형’ 등의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고 간주되기도 합니다.
6. 주얼리 활용 및 시장 동향
트라피체 루비는 패턴이 명확히 보이도록 얇게 슬라이스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귀금속으로 세팅한다면 패턴 유지가 관건인데, 이로 인해 대부분은 컬렉션용이나 슬라이스 전시용으로 사용됩니다.
게다가 보석이 가진 희귀성과 시각적 매력으로 인해 수집가를 중심으로 주목도가 높으며, 가격은 일반 루비보다 매우 높은 편입니다
'보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페리얼 토파즈(Imperial Topaz) 이야기 (0) | 2025.08.22 |
---|---|
보석의 왕 다이아몬드 (Diamond) 이야기 (0) | 2025.08.21 |
캑터스 아메시스트 (Cactus Amethyst) 이야기 (0) | 2025.08.14 |
블랙오팔 (Black Opal) 이야기 (0) | 2025.08.13 |
옐로우사파이어 (Yellow Sapphire) 이야기 (0) | 2025.07.30 |